昨年、佐賀県有田町で開催した個展「大村焼」以降、私は自分が置かれた「境界線」や「複雑な状況」をどのよ うに描き、表現できるのかを考えてきました。
私が言う「大村」は、単なる地理的な場所ではなく、概念的な場でもあります。
1950年12月、「不法入国者」とされた韓国・朝鮮人を本国へ強制送還するための大村入国者収容所(現・大村入 国管理センター)が長崎県大村市に設置されました。そこに収容されたのは、日本の植民地支配の余波を受けた 「朝鮮人不法入国者」や刑余者でした。植民地期に「日本国民」だった旧植民地出身者は、サンフランシスコ講 和条約発効まで「日本国籍」を有する内なる外部として、複雑で不安定な法的地位に置かれました。朝鮮半島南 北分裂後、「密航者」の管理は共産主義への脅威としてより強化され、収容所内でも北を支持するか、南を支持 するかで分断していたと言われています。
この大村周辺一帯は古くから「放虎原(ほうこばる)」とも呼ばれました。文禄・慶長の役の際、朝鮮半島から 持ち帰った虎を放ったことからこの名がついたと伝えられています。もちろん、実際に虎が放たれたという記録 はなく、伝説の域を出ません。しかし、朝鮮から連れてこられた虎を放った場所に、後に朝鮮人収容所が作られ たという事実には、想像力をかき立てられます。
また、大村だけでなく、朝鮮半島からの人の移動は他の地域にも影響を与えました。その一例が、大村に近い佐 賀県有田町です。有田町は、日本を代表する窯業地のひとつであり、文禄・慶長の役で朝鮮半島から連れてこら れた陶工たちによって、陶磁器産業が発展しました。有田焼の始まりは、朝鮮人陶工・李参平によるもので、現 在、彼は有田にある陶山神社に祀られています。こうした歴史を通じて、大村と有田はどちらも民族や地域を越 えた移動と文化の交差点となってきたのです。
私は、大村を民族や地域を越境する多様な人々が混在した具体的な場所であると同時に、現在に至るまで作用す る「境界線」を探る概念的な場所であると考えています。その観点から、日本生まれの私が韓国軍の徴兵対象と なる問題と接続し、大村と向き合っています。
前回の個展は、「朝鮮と日本」という大きな歴史と、自分という小さな歴史を行き来しながら、その関係を広く 捉えようとした展示でした。本展では、さらに「境界線」に焦点を当て、その曖昧さや衝突をどのように表現で きるかを探ります。
本展のタイトル《꽝(クァン)》は、韓国語の擬音語・擬態語です。主に物が強くぶつかったり、爆発したりする 大きな音を表します。私が位置する「境界線」は、二つ以上のものが衝突する狭間であり、そこにはまさに 「クァン」という音が響いているのではないかと思い、この言葉を選びました。また、「꽝」には「ハズレ」を 意味する使い方もあります。自身のアイデンティティや複雑な状況と向き合うことは、まるでハズレくじを引い たようなものだと感じることがあります。それはネガティブにも聞こえますが、場違いであること、ハズレを引 いたこと自体が、考え続け、技術を学び、どのようにアプローチするかを模索するきっかけになるのではないで しょうか。
境界線は、はっきりとしたもののようでいて、実際には曖昧で揺れ動くものです。内と外の区別は時に恣意的で あり、立場によっても変わります。私は、そんな曖昧な境界の中に身を置いていると感じることがあります。 境界に向き合うことは、明確な答えがあるわけではなく、常に「まどろっこしさ」を伴います。しかし、その中 でこそ、新たな視点を探し、問いを立てることができるのではないかと思います。
美術もまた、明快な答えを示すのではなく、曖昧さや余白を内包するものです。だからこそ、私はこの手段を選 びました。 鑑賞者は、私の視点や思考が作り出した空間に身を置くことで、新たな感覚や思考と出会うことができるかもし れません。
明確な結論を求めるのではなく、曖昧さとともに考え続けること。
その「まどろっこしさ」の中にこそ、私は希望を感じています。
今回の展示が、みなさんにとって日常や既知のものを異なる視点で認識するきっかけになれば幸いです。
2025.02.21 チョン・ユギョン
Since my solo exhibition “Ōmura-yaki” in Arita, Saga Prefecture last year, I have been contemplating how to depict and express the “boundaries” and “complex situations” that shape my position.
When I speak of Ōmura , I do not simply refer to a geographical location but also to a conceptual space.
In December 1950, the Ōmura Immigration Detention Center (now the Ōmura Immigration Center) was established in Ōmura, Nagasaki Prefecture to forcibly repatriate Korean and Joseon people labeled as “illegal immigrants.” Those detained there were Koreans affected by the aftermath of Japan’s colonial rule, including so-called “illegal immigrants” and former convicts. Until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came into effect, former colonial subjects—who had once been Japanese nationals under colonial rule—were placed in a complex and unstable legal status as an “internal other” who still held Japanese nationality. After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management of so-called “stowaways” was further reinforced as part of the containment of communism, and it is said that even within the detention center, individuals were divided based on their support for the North or the South.
The area surrounding Ōmura has long been known as Hōkobaru (放虎原), a name derived from a legend stating that tigers brought back from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Bunroku and Keichō Wars were released there. There are no historical records confirming that tigers were actually released, and the story remains within the realm of legend. However, the fact that a detention center for Koreans was later built on the very land where these tigers were said to have been freed stirs the imagination. The movement of people from the Korean Peninsula extended beyond Ōmura, affecting other regions as well. One such example is Arita in Saga Prefecture, near Ōmura. Arita is one of Japan’s most renowned ceramic production centers, and its porcelain industry was developed by potters who were brought from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Bunroku and Keichō Wars. The origins of Arita ware can be traced back to the Korean potter Ri Sampei (Yi Sam-pyeong) , who is now enshrined at Tōzan Shrine in Arita. Through these historical connections, both Ōmura and Arita have long served as points of intersection where people and cultures have crossed beyond ethnic and regional boundaries.
To me, Ōmura is both a tangible place where diverse people have converged across borders and a conceptual space for exploring the boundaries that continue to influence us today. From this perspective, I connect my personal situation—where, despite being born in Japan, I remain subject to conscription in the South Korean military—to my engagement with Ōmura.
My previous solo exhibition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roader history of Korea and Japan and my own personal history, moving between the two to grasp their interconnections. In this exhibition, I focus further on the notion of boundaries , examining how to express their ambiguity and the tensions they create. The title of this exhibition, 《꽝 (Kwang)》 , is a Korean onomatopoeia that represents a loud crashing or explosive sound. The boundary I inhabit is a space where two or more entities collide, and I imagine that within this collision, the sound “Kwang” reverberates.
Additionally, 꽝 can also mean a “miss” or “failure.” At times, confronting my identity and complex circumstances feels akin to drawing the short straw. While this may sound negative, being out of place or drawing a “miss” can also serve as a starting point—a reason to keep questioning, learning new skills, and exploring different approaches.
Boundaries may seem clear, yet in reality, they are fluid and ever-shifting. The distinction between inside and outside is often arbitrary and can change depending on one’s perspective. I frequently feel that I exist within these ambiguous boundaries.
Engaging with boundaries does not lead to clear-cut answers; rather, it is an ongoing process filled with uncertainty. Yet, within this ambiguity, new perspectives emerge, allowing us to pose new questions.
Art, too, does not provide definite answers but instead embraces ambiguity and open space. This is precisely why I choose art as my medium. By immersing themselves in the space shaped by my perspectives and thoughts, viewers may encounter new sensations and ways of thinking. Rather than seeking definitive conclusions, I hope to encourage continuous contemplation alongside ambiguity. Within this uncertainty, I find a sense of hope.
I hope this exhibition serves as an opportunity for you to perceive the familiar and the everyday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지난해 사가현 아리타에서 개최한 개인전 “오무라야키(大村焼)” 이후, 저는 자신이 놓여 있는 “경계” 와 “복잡한 상황” 을 어떻게 그려내고 표현할 수 있을지 고민해 왔습니다.
제가 말하는 “오무라(大村)” 는 단순한 지리적 장소가 아니라 개념적인 공간이기도 합니다.
1950년 12월, “불법 입국자” 로 규정된 한국·조선인을 본국으로 강제 송환하기 위해 오무라 입국자수용소(現 오무라 입국관리센터) 가 나가사키현 오무라시에 설치되었습니다. 이곳에 수용된 사람들은 일본의 식민지 지배의 여파를 겪은 “조선인 불법 입국자” 및 형사 범죄자들이었습니다.
식민지 시기에 “일본 국민” 으로 간주되었던 구 식민지 출신자들은,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이 발효될 때까지 “일본 국적” 을 가진 내부의 외부자로서 복잡하고 불안정한 법적 지위에 놓이게 되었습니다.
한국전쟁과 남북 분단 이후, 일본 정부는 공산주의 위협 을 이유로 “밀항자” 단속을 더욱 강화하였고, 수용소 내부에서도 북을 지지하는지, 남을 지지하는지에 따라 분열되었다고 전해집니다.
오무라 지역은 예로부터 “호우코바루(放虎原, 호랑이를 풀어놓은 들판)” 라고도 불렸습니다. 이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1592-1598) 당시 조선에서 일본으로 끌려온 호랑이를 이곳에 풀어놓았다는 전설에서 유래했습니다. 물론, 실제로 호랑이가 풀려났다는 기록은 없고 전설로 전해질 뿐입니다. 그러나 조선에서 데려온 호랑이를 풀어놓았다는 장소에 훗날 조선인을 수용하는 시설이 들어섰다는 사실은 여러 가지 상상을 불러일으킵니다.
오무라뿐만 아니라, 조선에서 일본으로의 인적 이동은 다른 지역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중 한 예가 오무라 근처의 사가현 아리타 입니다. 아리타는 일본을 대표하는 도자기 생산지 중 하나로,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당시 조선에서 끌려온 도공들에 의해 발전한 곳입니다. 아리타야키(有田焼) 의 시초는 조선인 도공 이삼평(李参平) 에게서 시작되었으며, 현재 그는 아리타의 도잔신사(陶山神社) 에 모셔져 있습니다. 이러한 역사를 통해 오무라와 아리타 모두 민족과 지역을 넘어선 이동과 문화적 교차점 이 되어 왔음을 알 수 있습니다.
저는 오무라를 다양한 민족과 지역을 넘어선 사람들이 공존했던 구체적인 공간 이자, 지금까지도 작용하는 “경계” 를 탐구할 수 있는 개념적 공간 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시선은 일본에서 태어난 제가 한국군 징역 대상이 된 문제 와도 연결됩니다.
이전 개인전에서는 “조선과 일본” 이라는 커다란 역사 속에서, 그에 대응하는 개인으로서의 역사 를 오가며 그 관계를 넓게 바라보려 했습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경계” 라는 개념에 집중하며, 그 모호함과 충돌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지 탐구하고자 합니다.
이번 전시의 제목 “꽝” 은 한국어의 의성어·의태어로, 주로 물체가 세게 부딪히거나 폭발할 때 나는 큰 소리를 의미합니다. 제가 마주하는 “경계” 는 두 개 이상의 요소가 충돌하는 틈에서 형성되며, 그곳에는 마치 “꽝” 하는 충돌음이 울리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또한 “꽝” 은 복권이나 게임에서 “꽝을 뽑다”라는 표현처럼 “꽝(실패, 꽝손)” 이라는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저 스스로의 정체성과 복잡하게 얽힌 상황을 마주하는 것은 마치 꽝을 뽑는 것과 같은 기분이 들기도 합니다. 이는 부정적으로 들릴 수도 있지만, 오히려 그 “부조화” 와 “실패” 를 통해 계속해서 고민하고, 기술을 익히며, 새로운 접근 방식을 모색해 나갈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합니다.
경계는 명확한 선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불분명하고 유동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안과 밖의 구분은 때때로 자의적이며,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달라지기도 합니다. 저는 그 애매한 경계 속에 서 있는 듯한 감각을 자주 느낍니다.
경계를 마주한다는 것은 명확한 해답을 찾는 것이 아니라, 애매하고 느린 상태에서 오는 답답함을 받아들이는 일일지도 모릅니다. 때로는 답답하고 불분명하지만, 그 속에서 새로운 시각을 발견하고 질문을 던질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립니다.
예술 역시 단 하나의 정답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해석과 모호함을 포용하는 영역입니다. 그렇기에 저는 예술을 선택했습니다.
관람객들은 제가 만들어낸 공간 속에서 저의 시선과 사고를 경험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 공간 속에서 자신만의 감각과 사고를 발견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명확한 결론을 찾기보다는, 애매함 속에서 계속 고민하고 사유하는 것. 그 “답답함” 속에서 저는 오히려 희망을 느낍니다.
이번 전시가 여러분에게 익숙한 일상과 이미 알고 있던 것들을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보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2025.02.21 정유경